3) 추량, 의지(~하자, ~할 것이다)를 나타낼때 어미가 お단으로 바뀌고 그 뒤에 う가 붙는다. はなす(말하다) --> はなそう(말하자) よむ(읽다) --> よもう(읽자)
4) 가정형(~이라면)이 될 때에는 어미가 え단으로 바뀌고 그 뒤에ば가 붙는다. はなす(말하다) --> はなせば(말하면) よむ(읽다) --> よめば(읽으면)
5)명령형(~해라)으로 만들 때에는 어미를 え단으로 바꾸기만 하면 된다. はなす(말하다) --> はなせ(말해) よむ(읽다) --> よめ(읽어)
6)뒤에 오는 말을 꾸며줄 때에는 그냥 동사의 기본형을 쓰면 된다. はなす とり 말하는 새 よむ ひと 읽는 사람
7)가능동사(~할 수 있다) 만들기 어미를 え단으로 바꾸고 그 뒤에 る를 붙인다. はなす(말하다) --> はなせる(말할 수 있다) よむ(읽다) --> よめる(읽을 수 있다)
8)~た(과거형 또는 단정형), ~て(~하고,~해서),~たり(~하기도 하고)에 연결될 때에는 ます형(어미가 い단으로 바뀐 것)이 된다. はなす(말하다) --> はなした(말했다) はなして(말하고, 말해서) はなしたり(말하거나, 말하기도 하고)
くだもの 과일
ぶどう すもも すいか あんず 포도 자두 수박 살구
もも まくわうり くり メロン 복숭아 참외 밤 메론
りんご みかん さくらんぼ(う) かき 사과 귤 체리 감
なし バナナ パイナップル 배 바나나 파인애플
やさい 야채
にんじん だいこん はくさい きゅうり 당근 무 배추 오이
がぼちゃ じゃがいも さつまいも にんにく 호박 감자 고구마 마늘
しょうが ほうれんそう たまねぎ なすび 생강 시금치 양파 가지
ごまのは とうがらし まめ きのこ 깻잎 고추 콩 버섯
ねぎ トマト 파 토마토
_ が(가) 이(가) 주어를 나타낸다. 本(ほん)が ある. 책이 있어. 문장을 연결할 때나 끝맺을 때 사용하다. かおは きれいだが,せいかくが わるい. 얼굴은 예쁜데 성격이 나빠. (카오와 키레이다가 세이가꾸가 와루이) そうは おもいませんが···.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요???. (소우와 오모이마셍가...)
_ は(와) 은(는) 주어를 나타낼 때나 강조할 경우 사용한다. 私(わたし)は 18さいだ. 나는 18살이다. (와다시와 주우핫사이다.) タバコは いらない. 담배는 필요 없어. (타바꼬와 이라나이)
_ か(카) -까 의문을 나타낸다. これは 何(なん)ですか. 이것은 무엇입니까? (고레와 난데스카.) 그밖에 불확실함이나 선택,감정표현을 나타낸다. 誰(だれ)か いる? 누군가 있어? (다레카 이루?) 行(い)くか 行(い)かないか わからない. 갈지 안 갈지 모르곘어. (이꾸카 이카나이카 와까라나이) また 雨(あめ)か. 또 비야. 마따 아메카.)
_ を(오) 을(를) 목적의 대상을 나타낸다. 本(ほん)を 讀(よ)む. 책을 읽다. (홍오 요무) 道(みち)を 步(ある)く. 길을 걷다. (미찌오 아루꾸)
_ の(노) -의 체언을 수식한다. 私(わたし)の 家(いえ). 나의 집(소유) (와다시노이에) 友達(ともだち)の 村本(むらもと). 친구인 무라모토(동격) (토모다찌노 무라모토) 그밖에 주어를 나타내거나,명사화,문장끝에서 의문이나 가벼운 단정을 나타낸다. 私(わたし)の 書(か)いた 本(ほん). 내가 쓴 책.(주어) (와다시노 카이따 홍) 高(たかい)のが 好(す)きです. 비싼 것이 좋습니다.(명사화) (타까이노가 스끼데스) 何(なに)を して いるの? 뭐 해?(의문) (나니오 시떼 이루노?) ちがうの? 틀려.(단정) (찌가우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