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 상태, 존재 등을 나타내는 활용어로, 모든 동사의 기본형은 「ウ단」으로 끝난다. 즉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의 어미는 う,く,ぐ,す,つ,ぬ,ぶ,む,る중의 하나로 끝난다. (단 ふ는 ぶ로, く는 く도 되고, ぐ도 된다.)
あう 만나다 書(か)く 쓰다 ぬぐ 벗다 話(はな)す 말하다
持(も)つ 들다 結(むす)ぶ 묶다 ある 있다
2. 동사의 종류
1) 5단 활용 동사
1.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지 않는, 즉 「う,く,ぐ,す,つ,ぬ,む, ぶ」 로 끝나는 동사 2. 「∼る」로 끝나는 동사 중에서 「る」바로 앞음이 「イ」단, 「エ」단이 아닌 것. 즉 「る」바로 앞음이 「ア」단,「ウ」단「オ」단인 동사
買(か)う 사다 泳(およ)ぐ 헤엄치다 探(さが)す 찾다 打(う)つ 치다
死(し)ぬ 죽다 運(はこ)ぶ 운반하다 止(と)まる 멈추다
2) 1단 활용동사
1.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고 「る」바로 앞의 음이 「イ」단(즉, い,き, し,ち,に,ひ,み,り)인 것
いる 있다 起(お)きる 일어나다 すぎる 지나다
閉(と)じる 닫히다 落(お)ちる 떨어지다 見(み)る 보다
2.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고 「る」바로 앞의 음이 「エ」단(즉 え,け,せ,て,ね,め,れ)인 것
答(こた)える 대답하다 助(たす)ける 구조하다 捨(す)てる 버리다
調(しら)べる 조사하다 訪(たず)ねる 방문하다 経(へ)る 흐르다, 지나다
3) カ행 변격활용동사
来(く) る (오다) 하나밖에 없다
4) サ행 변격활용동사
する하나 뿐이지만, 「する」와 다른 말이 합쳐져서 생긴 サ행변격 복합동사도 「する」와 같은 활용을 한다
研究(けんきゅう)する 연구하다 買物(かいもの)する 쇼핑하다
※ 히라가나(ひらがな)를 발음할 때의 주의점
① 무성음 중에서,「か행」의「か」와「く」,그리고「た행」의「て」와「と」라는 글자는,보통 단어 안에서 쓰일 때에는 "카,쿠,타,토,테"로 발음나지만,조사라든지 동사의 마지막 글자로 쓰일 때에는 "까,꾸,따,또,떼"로 발음을 해야 합니다.
<보기> ♠ 보통 단어 안에서 쓰일 때 かさ(카사:우산) つくえ(츠쿠에:책상) たくさん(타쿠산:많이) ていど(테이도:정도) ともだち(토모다치:친구) ♠ 조사나 동사의 마지막 글자로 쓰일 때 どこへ行きますか。(도코에 이키마스까:어디에 갑니까.) 行く(이꾸:가다) 家に?(かえ)ったと思います。(이에니 카엣따또 오모이마스;집에 갔다고 생각합니다.) ?書館(としょかん)まで?(ある)いていきました。(토쇼칸마데 아루이떼 이키마시따:도서관까지 걸어서 갔습니다.)
③ 「東京(とうきょう)」나「流行(ちゅうこう)」와 같이 자음 뒤에 모음「う」가 오는 경우,여기서 모음「う」는 장음으로서,앞의 자음 속에 들어있는 모음의 영향을 받아 발음이 변하며,장음이므로 조금 길게 빼는 듯이 발음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とうきょう」와 같이「う」앞의 글자인「と」와「きょ」는「お단」에 속하는 자음으로서,그 자음 속에 들어있는 모음이「お」이므로,「と」와 「きょ」뒤에 오는 모음「う」는 앞의 자음 속에 들어 있는 모음의 영향을 받아 "오"로 발음해야 합니다. 그리고,「りゅうこう」의「りゅう」와 같은 경우는, 「う」앞의 글자인「りゅ」가「う단」에 속하는 자음으로서,그 자음 속에 들어있는 모음이「う」이므로,「りゅ」뒤에 오는 모음「う」는 앞의 자음 속에 들어있는 모음의 영향을 받아 "우"로 발음해야만 합니다.
④ 위에 나와 있는 ③의 설명과 같이 장음(長音)이 들어가 있는 단어일 경우는, 발음을 할 때에 장음의 역할을 하는 모음의 발음을 조금 길게 발음해야 하지만, 자음 뒤에 모음이 들어가지 않는 단음(短音)인 경우의 단어는,장음이 들어가는 단어와 같이 길게 발음해서는 않됩니다.왜냐하면,일본어 단어에는「良好(りょうこう)」나「旅行(りょこう)」와 같이 장음과 단음을 구별하지 않고 발음했을 경우,자기가 말하고자 하는 단어와는 전혀 엉뚱한 의미의 단어를 말해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그렇게 되면,대화하는 상대방에게 크나큰 혼동을 가져다 줄 염려가 있으며,그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단음인 경우의 단어는 짧고 확실하게 발음해야 합니다.
⑤ 일본어는 한글과 틀려서,발음 할 때에는, 위의 설명③에서와 같이, 앞글자의 자음에 속해 있는 모음의 영향을 받아 뒷 글자의 발음이 바뀌는 경우는 있지만, 앞 글자의 자음의 영향을 받아 뒷 글자의 발음이 변한다든지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일본어를 읽을 때에는,한글에서나 적용되는 자음동화법칙은,일본어에는 전혀 적용되지 않으므로 주의하여 읽어야만 합니다.
<보기> いんりょうすい("인료오스이";한글에는 자음동화법칙이 있으므로 한국사람들은 「?料水(いんりょうすい)」를 "인뇨오스이"로 읽기 쉽기 때문에 주의하여 읽어야 함) しんりゃく("신략쿠";「侵略(しんりゃく)」를 "신냑쿠"로 읽기 쉬우므로 주의해서 읽어야 함)
⑥ 「?校(がっこう)」와 같이,단어의 첫 글자인「?(がく)」라는 한자 안에는 「く(무성음)」라고 하는 무성음이 들어 있는데,이 첫 글자 안에 들어있는 무성음 바로 뒤에「校(こう)」라는 한자의 첫 글자인「こ(무성음)」와 같이 무성음이 오면,첫 한자의 마지막 글자인 무성음「く」가 두 번째 한자의 첫 글자인 무성음「こ」와 충돌하여 촉음인「っ」로 변합니다.
<보기> ?(がく)+校(こう)⇒?校(がっこう:학교) 一(いち)+杯(はい)⇒一杯(いっぱい:한잔) 그러나,모든 단어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100% 다 읽을 수는 없으며, 예외도 있습니다. (예외) ?(がく)+生(せい)⇒?生(がっせい:×), ?生(がくせい;O) ?生(がくせい)와 같이,앞에 위치하는 첫 한자의 마지막 글자가 무성음인 「く」이고,또뒤에 위치하는 한자의 첫 글자인「せ」가 무성음이어도,이 두 글자가 서로 부딪혀서 앞에 위치하는 한자의 마지막 글자인 무성음「く」가 촉음「っ」로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특히 예외인 단어를 중점적으로 외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외)?山(たくさん:많이),確?(かくしょう:확증),確信(かくしん:확신)???등등.
▶ 앞에 위치하는 한자의 마지막 글자가 무성음인「く」이고, 뒤에 위치하는 한자의 첫 글자가 무성음인「さ,し,す,せ,そ」이면, 이 두 무성음이 서로 부딪혀도, 앞에 위치하는 한자의 마지막 글자인「く」가「っ」로 변하지 않습니다. 주의 : 「一杯(いっぱい)」와 같이,뒤에 위치하는 한자의 첫 글자인「は,ひ,ふ,へ,ほ」라고 하는 무성음이, 앞 한자의 마지막 글자가 무성음이거나 「∼ゃう,∼ゅう,∼ょう」와 충돌하면, 앞에 위치하는 한자 안에 들어있는 무성음이나 「∼ゃう,∼ゅう,∼ょう」의 마지막 글자인 「う」가 촉음인「っ」로 변함과 동시에, 뒤에 위치하는 한자의 첫 글자인 무성음「は,ひ,ふ,へ,ほ」가「ぱ,ぴ,ぷ,ぺ,ぽ」로 변합니다. <보기> 失(しつ)+敗(はい)⇒失敗(しっぱい:실패) 十(じゅう)+分(ふん)⇒十分(じゅっぷん:10분) (예외)九(きゅう)+分(ふん)⇒九分(きゅうふん) 일본어의 단어,특히 한자어는 위의 규칙대로 읽으면,거의 틀림없이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수적으로 한정되어 있기는 하나,예외도 있으므로 주의하여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우리말의 유명하다. 소박하다. 훌륭하다처럼(명사+하다)의 형태입니다. 모두
그렇지는 않지만 대부분 그렇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본어에서는 형용사
라고 합니다.
*나는 유명하다.
:私(わたし)は 有名(ゆうめい)だ.(와다시와 유우메이다)
형용사란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이죠. 우리말의 "유명하
다"는 (명사 + 하다)잖아요. 일본에선有名 (ゆうめい)だ라고 합니다. い형용사
와는 달리 끝이 い 가 아닌 だ로 끝났네요. 이처럼 일본어의 형용사에는 두 가
지가 있어요. 어간이 い로 끝나는 것과 だ로 끝나는 것. い로 끝나는 것을 い
형용사. だ로 끝나는 것을 な형용사라고 해요. だ로 끝나면 だ형용사지 왜 な
형용사라고 하냐구요? 다음을 잘 보세요.
*かわいい ねこ.귀여운 고양이. (카와이이레꼬)
*有名(ゆうめい)な 人(ひと). 유명한 사람. (유우메이나히또)
형용사의 가장 중요한 용법은 명사를 꾸미는 것입니다. かわいい처럼 명사를
꾸밀 때 어미가 い이면 い형용사. 有名(ゆうめい)な처럼 명사를 꾸밀 때 어미
가 な이면 な형용사라고 합니다.
*この 本(ほん)は 有名(ゆうめい)だ. 이 책은 유명하다. (코노홍와 유우메이다.)
*有名(ゆうめい)な 本(ほん). 유명한 책. (유우메이나홍)
*その 指輪(ゆびわ)は 大切(たいせつ)だ. 그 반지는 소중하다. (소노유비와와 타이세쯔다.)
*大切(たいせつ)な 指輪(ゆびわ). 소중한 반지. (타이세쯔나 유비와)
*나는 유명하지 않다. 私(わたし)は 有名(ゆうめい)では ない.(와다시와 유우메이데와나이)
な형용사인 有名(ゆうめい)だ의 부정표현은 부정형 ない를 붙이기는 하는데,
어미 だ를 빼고 では ない를 붙입니다. 그래서 有名(ゆうめい)だ의 부정표현
은 有名(ゆうめい)では ない가 되는 것이지요. 앞에서 익힌 花(はな)だ(꽃이다)
의 부정표현이 花(はな)では ない(꽃이 아니다)였던 것하고 같은 형태이네요.
이 또한 대화체에서는 では를 じゃ로 바꿔 きれいじゃ ない라고도 한답니다.
*この本(ほん)は 有名(ゆうめい)では ない. 이 책은 유명하지 않다. (코노홍와유우메이데와나이)
*その 指輪(ゆびわ)は 大切(たいせつ)では ない. 그 반지는 소중하지 않다. (소노유우비와 타이세쯔데와 나이)
*나는 유명했었다. 私(わたし)は 有名(ゆうめい)だった.(와다시와 유우메이닷따.)
な형용사인 有名(ゆうめい)だ의 과거표현은 어미 だ를 だった로 바꿉니다. 이
것도 앞에서 익힌 花(はな)だ(꽃이다)의 과거표현이 花(はな)だった(꽃이었다)
였던 것하고 똑같데요. 그러고 보니 有名(ゆうめい)だ는 な형용사이지만 だ로
끝나기 때문에 명사 + だ와 같은 형태로 활용을 하네요. 맞아요.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 な형용사를 "명사적인 활용을 하는 형용사" 라고도 한답니다.
*この 本(ほん)は 有名(ゆうめい)だった. 이 책은 유명했었다. (코노홍와 유우메이닷따.)
*その 指輪(ゆびわ)は 大切(たいせつ)だった. 그 반지는 소중했었다. (소노 유우비와와 타이세쯔닷따.)
-정중한 표현도 배워봅시다.-
*나는 유명합니다. :私(わたし)は 有名(ゆうめい)です.(와다시와 유우메이데스)
な형용사도 형용사이나 정중한 표현을 만들 때는 です가 붙습니다. 하지만 い
형용사와는 달리 어미 だ를 빼고 です를 붙입니다. 花(はな)だ(꽃이다)가 花(は
な)です(꽃입니다)로 되는 것과 같지요. 그래서 "유명합니다"는 有名(ゆうめい)
だ(유명하다)에서 어미 だ를 빼고 です를 붙여 有名(ゆうめい)です가 됩니다.
*この 本(ほん)は 有名(ゆうめい)です. 이 책은 유명합니다. (코노홍와 유우메이데스)
*その 指輪(ゆびわ)は 大切(たいせつ)です. 그 반지는 소중합니다. (소노유우비와와 타이세쯔데스.)
*나는 유명합니까? 私(わたし)は 有名(ゆうめい)ですか.(와다시와 유우메이데스까)
です의 의문표현은 ですか이지요. 그래서 "유명합니까?"는 有名(ゆうめい)で
すか라고 합니다.
*この 本(ほん)は 有名(ゆうめい)ですか. 이 책은 유명합니까? (코노홍와 유우메이데스까)
*その 指輪(ゆびわ)は 大切(たいせつ)ですか. 그 반지는 소중합니까? (소노유우비와와 타이세쯔데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