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arble
- 생각
- Riddle
- Bluelay
- Book
- Technology
- 미드
- 퇴근의 맛
- 나날
- minifigure
- Test
- 피규어
- 일드감상
- Wallpaer
- 작품
- bluetooth
- Reverse Engineering
- 건프라
- 영화감상
- 플래시게임
- oculus
- CF
- 71039
- Programing
- 개발
- Game
- Study
- 사진
- 레고
- iphone
Archives
- Today
- Total
!n5u Story
PC의 유선랜 공유로 아이폰 무선랜 사용 본문
아이폰의 wifi가 PC의 무선랜과 연결되고, PC 무선랜은 PC의 유선랜을 통해 인터넷 접근.
위와 같은 구성이 가능한데, 오래전 시도해본답시고 연결브릿지 해야하나 하면서 생난리 친 기억..
ad hoc모드로 했어야 했거늘..;;
마침 회사에 무선 공유기 추가하기도 귀찮고 해서 다시 시도해보았다!!
로컬연결에서 고급의 인터넷연결공유 체크
ad hoc으로 연결됨이니까..
네트워크 추가시 AP사용안함으로 임의의 SSID 추가~
맨아래 체크해주고 생성하기.
요점은 IP구성..
아래글에 젖절한 설명이 있습니다.
http://wormhol.tistory.com/17
http://latte4u.net/149
유선랜은 사용하던대로 설정.
무선랜은 임의의 IP(192.168.2.1)로 설정하고, 게이트웨이는 유선랜의 IP
아이폰은 ad hoc된 무선랜에 연결하고 IP는 무선랜과 같은 그룹(192.168.2.2)으로 지정, 라우터(게이트웨이)는 무선랜IP
DNS는 공통..
결과적으로 아이폰IP -> 아이폰 라우터 = 무선랜IP -> 무선랜 게이트웨이 = 유선랜IP -> 유선랜 인터넷 공유.
SSID추가시 개방모드가 안되서 공유모드로 추가했다는 글도 보이고 그렇습니다..
PC무선랜은 ad hoc으로 생성한 SSID에 연결되도록 하고,
아이폰도 같은 SSID로 연결 시도.
AP가 없으니 장치끼리 HandShaking되어야 하는 가도 싶음.
지금 해보니 PC무선랜이 아이폰 켜면 연결되었다가 아이폰 꺼지면 연결안됨상태로 됨.
연결안됨상태에도 Connection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다른 SSID로 연결이 넘어가지는 않는다?!
(다른 SSID가 수동연결상태라 그럴지도..)
이것은 무선랜을 소모하며 연결되는 것인지라..
ad hoc 연결시 PC의 무선랜은 사용 불가..
해서.. Windows7에서는 Connectify라는 프로그램이 있다함.
http://www.theprojecty.net/tt/index.php?pl=1072
Connectify는 가상의 장치를 생성하여 사용함으로,
실제 무선랜은 인터넷에 연결되고 가상의 무선랜이 ad hoc방식으로 아이폰과 연결되는 그런 것.
반응형
Comments